띵킹/커리어스터디

QAQC

edcrfv458 2024. 12. 13. 15:55

1. QA와 QC를 정의

QA

QA품질 보증을 뜻하며, 제품이 적절한 품질 수준을 충족하도록 프로세스와 시스템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역할

  • 주요 목적: 결함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
  • 적용 시점: 설계 단계 및 생산 공정 전반
  • 관련 용어: 프로세스 표준화, ISO 인증, 절차 매뉴얼, 감리(Audit)

예시:
새로운 자동차 부품을 제작할 때, 공정 설계 단계에서 잠재적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설계 표준과 제조 절차를 설정하는 것


QC

QC품질 관리를 뜻하며, 생산된 제품이 요구된 품질 기준을 충족하는지 검사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담당

  • 주요 목적: 결함을 식별하고 수정하는 것
  • 적용 시점: 제품 생산 이후 및 최종 완성 단계
  • 관련 용어: 품질 검사, 샘플 테스트, 불량률 분석, 통계적 품질 관리

예시:
생산된 자동차 부품 중 무작위 샘플을 선택해 크기와 강도 테스트를 통해 불량품을 제거하는 것

 

QA와 QC의 차이 비교

구분QA (품질 보증)QC (품질 관리)

주요 초점 프로세스와 절차 개선 제품의 품질 확인 및 불량 식별
목적 결함 사전 예방 결함 식별 및 수정
적용 시점 설계 및 생산 공정 전반 제품 생산 이후
예시 ISO 9001 인증 획득, 제조 표준 설계 완성품 검사, 불량률 통계 분석

 


2. 실제 사례

사례 1: 전자제품 제조 공정

QA: 품질 보증의 적용

전자제품 제조업체는 공정 초기 단계에서 ISO 9001 품질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제조 절차를 표준화했습니다. 이를 통해 생산 공정에서 불필요한 오류를 줄이고, 모든 직원이 동일한 절차를 따르도록 교육을 진행했습니다.

QC: 품질 관리의 적용

생산된 전자제품 중 일부를 추출하여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고, 불량품을 분류했습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화면 터치 반응 속도를 검사하고,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제품은 재작업 공정으로 보냈습니다.


사례 2: 자동차 부품 생산

QA: 품질 보증의 적용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는 설계 단계에서 **FMEA(Failure Mode and Effects Analysis, 고장 모드와 영향 분석)**를 실시해, 잠재적인 결함 요인을 미리 식별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공정 개선안을 도출했습니다.

QC: 품질 관리의 적용

완성된 부품에서 무작위로 샘플을 추출하여 강도 테스트를 진행했습니다. 특정 기준에 미달하는 제품은 불량품으로 분류하고 원인 분석을 통해 공정을 개선했습니다.

'띵킹 > 커리어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활용 직무  (2) 2024.12.19
커리어 스터디[1219]  (6) 2024.12.19
커리어 스터디[1218]  (2) 2024.12.18
커리어 스터디[1217]  (2) 2024.12.17
커리어 스터디[1216]  (0) 2024.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