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처리 기사 필기 풀이(2024년도 01회)
1 유형
1번: 유스케이스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 정답: 액터는 대상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는 살마이나 다른 시스템에 의한 역할이다.
2번: HIPO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 정답: 상향식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문서화 도구이다.
- HIPO는 하향식 기법으로 절차보다는 기능 중심이다.
3번: 서브 시스템이 입력 데이터를 받아 처리하고 결과를 다른 시스템에 보내는 작업이 반복되는 아키텍처 스타일은?
- 정답: 파이프 필터 구조
4번: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UI 설계 도구는?
- 디자인, 사용 방법 설명, 평가 등을 위해 실제 화면과 유사하게 만든 정적인 형태의 모형
- 시각적으로만 구성 요소를 배치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실제로 구현되지는 않음
- 정답: 목업
- 자료 흐름도 - 기능 모델링
-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 검증 x
- 추상화 종류: 기능, 제어, 자료
- 요구사항 명세 기법
- 정형 명세: 수학적인 원리와 표기법 사용해 요구사항 표현, ex) Z
- 비정형 명세: 자연어와 같은 형식이 없는 방법으로 요구사항 기술
2 유형
1번: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가 아닌 것은?
- 정답: Foxbase
- 인터페이스 구현 검증 도구: Watir, xUnit, FitNesse, STAF
2번: 색인 순차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인덱스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과 오버플로우 처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없다.
- 색인 순차 파일
- 구성: 기본 영역, 색인 영역, 오버플로우 영역
- 레코드를 참조할 때 색인을 탐색한 후 색인이 가리키는 포인터 사용해 직접 참조 가능
- 레코드를 추가 및 삽입하는 경우, 파일 전체를 복사할 필요 없음
- 인덱스 저장하기 위한 공간과 오버플로우 처리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
- 색인 구역은 트랙 색인 영역, 실린더 색인 영역, 마스터 색인 영역으로 구성
3번: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 검증과 확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정답: 검증은 작업 제품이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지 측정하며, 확인은 작업 제품이 개발자의 기대를 충족시키는지를 측정한다.
- 검증: 개발자의 시각에서 제품이 명세서대로 완성되었는지 검증
- 확인: 사용자의 시각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 잘 수행하고 있는지 테스트
4번: 필드 테스팅이라고도 불리며 개발자 없이 고객의 사용 환경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검사 수행하는 인수 검사 기법은?
- 정답: 베타 검사
- 알파 테스트: 베타 검사 전에 프로그램 개발 시 내부에서 미리 평가하고 검사
5번: 해싱 함수의 종류가 아닌 것은?
- 정답: 개방주소법
6번: 소프트웨어 테스트에서 오류의 80%는 전체 모듈의 20% 내에서 발견된다는 법칙은?
- 정답: Pareto의 법칙
7번: 소스 코드 품질 분석 도구 중 정적 분석 도구가 아닌 것은?
- 정답: valMeter
- 정적 분석 도구: pmd, cppcheck, SonarQube, checkstype, ccm, cobertura, FindBugs
- 동적 분석 도구: Avalanche, Valgrind, valMeter
8번: IDE 도구의 각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정답: Compile - 저급언어의 프로그램을 고급언어 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기능
3 유형
1번: 정규화 과정에서 A→B이고, B →C 일 때 A →C인 관계를 제거하는 관계는?
- 정답: 2NF → 3NF
- 이행 종속 규칙
2번: CREATE TABLE문에 포함되지 않는 기능은?
- 정답: 속성 타입 변경
- 속성의 타입 변경은 ALTER 문을 사용
3번: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키(Key)는?
- 릴레이션 내의 속성들의 집합으로 구성된 키로서, 릴레이션을 구성하는 모든 튜플에 대한 유일성은 만족시키지만 최소성은 만족시키지 못한다.
- 슈퍼키
4번: 정규화를 거치지 않아 발생하게 되는 이상 현상의 종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얷은?
- 정답: 종속 이상이란 하나의 릴레이션에 하나 이상의 함수적 종속성이 존재하는 현상이다.
- 이상 현상 종류: 삽입 이상, 삭제 이상, 갱신 이상
5번: 해싱 등의 사상 함수를 사용하여 레코드 키에 의한 주소 계산을 통해 레코드를 접근할 수 있도록 구성한 파일은?
- 정답: 직접 파일
6번: 물리 데이터 저장소의 파티선 설계에서 파티션 유형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유닛 분할
- 파티션 유형: 범위, 목록, 해시, 결합(composite)
7번: 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정답: 뷰의 정의는 기본 테이블과 같이 ALTER문을 이용하여 변경한다.
- 뷰의 삽입, 삭제, 갱신 연산 시 ALTER문 사용할 수 없다는 제약이 있음
8번: 데이터 사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정답: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데이터인 슈퍼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9번: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와 관련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정답: 인덱스의 추가, 삭제 명령어는 각각 ADD, DELETE 이다.
- 인덱스는 수정이 불가능하며 생성은 CREATE, 삭제는 DROP 명령문 사용
- 제약 조건
- 개체 무결성: 기본키의 값은 널값이나 중복 값을 가질 수 없다
- 참조 무결성: 참조할 수 없는 외래키 값을 가질 수 없다
- 도메인 무결성: 릴레이션의 하나의 속성은 반드시 원자값이어야 한다는 것을 보장
- ALTER: 컬럼 추가
4 유형
1번: 10.0.0.0 네트워크 전체에서 마스크 255.240.0.0을 사용할 경우 서브넷 ID는?
- 정답: 10.16.0.0
- 10.0.0.0 네트워크는 A클래스에 해당
- 서브넷은 255.240.0.0/12이므로 11111111. 11110000. 00000000. 00000000
2번: 다음 중 가장 약한 결합도는?
- 정답: Stamp Coupling
- 자료(Data) < 스탬프(Stamp) < 제어(Control) < 외부(External) < 공통(Common) < 내용(Content)
3번: OSI 7계층에서 단말기 사이에 오류 수정과 흐름 제어를 수행하여 신뢰성 있고 명확한 데이터 전송을 하는 계층은?
- 정답: 전송 계층
- TCP, UDP
4번: Java에서 사용되는 출력 함수가 아닌 것은?
- 정답: printing
- print, println, printf 사용됨
5번: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OSI 7계층을 옳게 나열한 것은?
- ㄱ.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
- ㄴ. 링크의 설정과 유지 및 종료를 담당하며, 노드 간의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
- ㄷ. 통신망을 통하여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는 계층
- ㄹ. 종단 간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오류 검출과 복구, 흐름 제어를 수행하는 계층
- 정답: 응용 계층 -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 - 전송 계층
6번: 페이지 교체 기법 중 시간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각 페이지마다 참조 비트와 변형 비트를 두는 교체 기법은?
- 정답: NUR(Not Used Recently)
7번: 운영체제 분석을 위해 리눅스에서 버전 확인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 정답: uname
- ls: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과 디렉토리 목록 출력
- cat: 파일 내용 출력
- pwd: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 출력
8번: C언어의 malloc() 함수와 free() 함수를 통하여 해제하는 메모리 영역은?
- 정답: 힙(heap)
9번: 페이징 기법과 세그멘테이션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 정답: 세그멘테이션 기법에서는 내부 단편화가, 페이징 기법에서는 외부 단편하가 발생할 수 있다.
- 세그멘테이션에서 외부 단편화 발생할 수 있고, 페이징 기법에서 내부 단편화가 발생할 수 있음
- 메소드 오버로딩: 메소드명은 동일하지만 매개 변수 타입을 다르게 함
- Partially Commited: 트랜잭션의 마지막 연산이 실행된 직후 상태로, 모든 연산 처리는 끝났지만 최종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지 않은 상태
- IPv6: 16비트씩 8부분으로 총 128비트
- C언어 함수
- sizeof: 자료형의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구함
- length: 자료형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C++)
- type: 자료형을 출력하는 함수
- strlen: 문자열의 길이를 구하는 함수
5 유형
1번: 소프트웨어 비용 추정 모형이 아닌 것은?
- 정답: PERT
- PERT는 프로젝트 일정 관리 차트
- 비용 추정 모형: COCOMO, Putnam, Function-Point
2번: RSA 암호 시스템의 변형으로 소인수분해를 기반으로 하는 간단하고 빠른 연산속도의 공개키 암호 방식은?
- 정답: 라빈(Rabin) 암호
3번: 사용자가 컴퓨터나 네트워크를 의식하지 않고 장소에 상관없이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을 무엇이라 하는가?
- 정답: 유비쿼터스
- 사물인터넷: 물건에 센서와 통신 기능을 탑재
- 디지털 컨버전스: 다양한 매체와 기술의 통합
- 블루투스: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
4번: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동일한 암호화 알고리즘은?
- ( ): 비대칭 암호화 방식으로 이산대수를 활용한 암호화 알고리즘
- ( ): 비대칭 암호화 방식으로 소인수분해를 활용한 암호화 알고리즘
- 정답: DSA, RSA
5번: 기계를 키오스크에 갖다 대면 원하는 데이터를 바로 가져올 수 있는 기술로 10cm 이내 근접 거리에서 기가급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초고속 근접무선통신(NFC) 기술은?
- 정답: Zing
6번: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이 아닌 것은?
- 정답: LaaS
- 클라우드 컴퓨팅 유형: IaaS, PaaS, SaaS
7번: 사전 등록된 모바일 장비를 통해 원격으로 개인 사용자 기기를 등록, 관리, 추적 등을 지원하는 단말기기 관리 업무를 처리하는 BYOD 환경에서의 주요 보안 강화 기술은?
- 정답: MDM(Mobile Device Management)
- 기기 자체를 관리
8번: IP 또는 ICMP의 특성을 악용하여 특정 사이트에 집중적으로 데이터를 보내 네트워크 또는 시스템의 상태를 불능으로 만드는 공격 방법은?
- 정답: Smurfing
9번: SSL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네트워크를 통해 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의 전송 계층 보안 프로토콜은?
- 정답: TLS(Transport Layer Security)
10번: 기존 무선 랜의 한계 극복을 위해 등장하였으며, 대규모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생성에 최적화되어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킹, 공공 안전 등의 특수목적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네트워크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 정답: Mesh Network
11번: Somthing You Have가 아닌 것은?
- 정답: 지문
12번: 시스템이 몇 대가 되어도 하나의 시스템에서 인증에 성공하면 다른 시스템에 대한 접근권한도 얻는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은?
- 정답: SSO(Single Sign-On)
13번: 다음 내용이 설명하는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과 관련된 용어는?
- 어떤 제품 혹은 서비스를 사용할 만한 목표 집단 내의 다양한 사용자의 유형을 대표하는 가상의 인물이다.
- 마케팅, 디자인, 판매 등 다양한 개발 조건 간의 사용자를 위한 상호 소통의 도구로 이용되며, 사용자 중심의 UI를 만들기 위해서 사용자를 분류하고 정의해야 한다.
- 정답: 페르소나
- Sqoop: 하둡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해 설계된 도구
- CMMI의 성숙도 레벨: 초기, 관리, 정의, 정량적 관리, 최적화
- 시작 x
- tcp wrapper: 어떤 외부 컴퓨터가 접속되면 접속 인가 여부를 점검해서 인가된 경우에는 접속이 허용되고, 반대의 경우에는 거부할 수 있는 접근 제어 유틸리티 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