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자격증
정보 처리 기사 실기 풀이(2022년도 02회)
edcrfv458
2025. 4. 14. 17:29
1. 데이터베이스
- ( )은 관계 데이터의 연산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관계 데이터 모델의 제안자인 코드가 수학의 술어 해석에 기반을 두고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위해 제안
- 원하는 정보가 무엇이라는 것만 정의하는 비절차적 특성을 지니며, 원하는 정보를 정의할 때 계산 수식을 사용
- 튜플 해석식을 사용하는 튜플 ( )과 도메인 해석식을 사용하는 도메인 ( )으로 구분
- 관계 해석
2. 보안 (암호화 알고리즘)
- 암호화 알고리즘은 패스워드, 주민번호, 은행계좌와 같은 중요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평문을 암호화된 문장으로 만드는 절차 또는 방법을 의미
- 스위스의 라이와 메시는 1990년 PES를 발표하고, 이후 이를 개선한 IPED를 발표하였다. IPES는 128비트의 Key를 사용하여 64비트 블록을 암호화하는 알고리즘이며 현재는 ( 1 )라고 불린다.
- ( 2 )은 국가 안정 보장국(NSA)에서 개발한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클리퍼 칩이라는 IC 칩에 내장되어있다. 80비트의 Key를 사용하여 64비트 블록을 암호화하며, 주로 전화기와 같은 음성 통신 장비에 삽입되어 음성 데이터를 암호화
- ( 1 ) : IDEA (International Data Encryption Algorithm
- ( 2 ) : Skipjack
9. 네트워크 (서브네팅)
- 현재 IP 주소가 192.168.1.132이고, 서브넷 마스크가 255.255.255.192일 때, 네트워크 주소는 192.168.1.( 1 )이고, 해당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사용 가능 호스트의 수는 ( 2 )개이다.
- 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의 길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A클래스에서 E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되며, 각 클래스는 IP 주소의 앞자리로 구분 가능
- A class: 0~127로 시작
- B class: 128~191로 시작
- C class: 192~223로 시작
- D class: 224~239로 시작
- E class: 공용되지 않음
- 192.168.1.132는 C클래스에 속한 주소로, C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이며 이를 2진수로 표현하면 11111111 11111111 11111111 00000000으로, 1의 개수가 24개
- 문제에 주어진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192를 2진수로 표현하면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000000으로, C 클래스의 기본 서브넷 마스크보다 1의 개수가 2개, 즉 2비트가 많음. 2비트를 이용해 네트워크의 개수와 네트워크 안에 포함된 호스트의 개수를 계산
- 네트워크 개수 = 4(2^2(추가된 비트 수))
- 호스트 개수 = 256/네트워크 개수 = 256/4 = 64
- 다음 표와 같이 64개의 호스트 주소 갖는 4개의 네트워크로 분할 가능
- 네트워크별로 첫 번째 주소는 네트워크 주소이고, 마지막 주소는 브로드캐스트 주소
- IP 주소는 네트워크 부분의 길이에 따라 다음과 같이 A클래스에서 E클래스까지 총 5단계로 구성되며, 각 클래스는 IP 주소의 앞자리로 구분 가능
네트워크 | 네트워크 주소 | 브로드캐스트 주소 |
1 | 192.168.1.0 | 192.168.1.63 |
2 | 192.168.1.64 | 192.168.1.127 |
3 | 192.168.1.128 | 192.168.1.191 |
4 | 192.168.1.192 | 192.168.1.255 |
-
-
- ( 1 ) : 192.168.1.128
- ( 2 ) : 62
- 호스트의 수는 네트워크마다 64개의 호스트를 가지므로 64개지만, 문제에서 네트웤크 주소와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다고 했으므로 사용 가능한 호스트이 수는 62개
-
10.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인수 테스트)
- ( 1 ) : 선정된 최종 사용자가 여러 명의 사용자 앞에서 행하는 테스트 기법으로, 실제 업무를 가지고 사용자가 직접 테스트
- ( 2 ) : 개발자의 장소에서 사용자가 개발자 앞에서 행하는 테스트 기법으로, 테스트는 통제된 환경에서 행해지며, 오류와 사용상의 문제점을 사용자와 개발자가 함께 확인하면서 기록
- ( 1 ) : 베타 테스트
- ( 2 ) : 알파 테스트
11. 테스트
- 통합 테스트로 인해 변경된 모듈이나 컴포넌트에 새로운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는 테스트
- 이미 테스트된 프로그램의 테스팅을 반복하는 것
- 수정한 모듈이나 컴포넌트가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는지, 오류가 생기지 않았는지 테스트하여 새로운 오류가 발생하지 않음을 보증하기 위해 반복 테스트
- Regression
12. 릴레이션
- <관계 대수식>
- π_TTL(EMPLOYEE)
- <EMPLOYEE>
INDEX | AGE | TTL |
1 | 48 | 부장 |
2 | 25 | 대리 |
3 | 41 | 과장 |
4 | 36 | 차장 |
- 답
- π는 주어진 릴레이션에서 속성 리스트에 제시된 속성 값만을 추출해 새로운 릴레이션 만드는 PROJECT 연산
TTL |
부장 |
대리 |
과장 |
차장 |
13. PYTHON
a = "REMEMBER NOVEMBER"
b = a[0:3] + a[12:16]
c = "R AND %s" % "STR"
print(b + c)
- b는 REMEMBE
- c는 R AND STR
- 따라서 b + c ➡️ REMEMBER AND STR
14. 경로 제어 프로토콜
- 경로 제어 프로토콜은 크게 자유 시스템 내부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 1 )와 자율 시스템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 2 )로 구분
- ( 1 )는 소규모 동종 자율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RIP와 대규모 자유 시스템에서 많이 사용되는 ( 3 )로 나누어진다.
- ( 3 )는 링크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최단 경로로 라우팅을 지원하는 특징
- ( 4 )는 ( 2 )의 단점을 보완하여 만들어진 라우팅 프로토콜로, 처음 연결될 때는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하고, 이후에는 변화된 정보만을 교환
- ( 1 ) : IGP
- ( 2 ) : EGP
- ( 3 ) : OSPF
- ( 4 ) : BGP
18. 다함수적 종속
- <R>
학생 | 학과 | 성적 | 학년 |
이순신 | 컴퓨터공학 | A+ | 2 |
이순신 | 전기공학 | B | 2 |
유관순 | 경제학 | B+ | 1 |
강감찬 | 문예창작 | C | 3 |
강감찬 | 한국사 | C+ | 3 |
홍길동 | 영문학 | B | 4 |
- 테이블 <R>에서 '성적'은 기본키인 {학생, 학과}에 대해 ( 1 ) Functional Dependency
- 테이블 <R>에서 '학년'은 기본키인 {학생, 학과} 중 '학생'만으로 식별이 가능하므로 기본키에 대해 ( 2 ) Functional Dependency
- 임의의 테이블에 속성 A, B, C가 있을 때 A → B이고 B → C일 때 A → C의 관계는 ( 3 ) Functional Dependency
- ( 1 ) : Full
- ( 2 ) : Partial
- ( 3 ) : Transitive
19. 인터넷
- 인터넷이란 TCP/I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여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와 네트워크들이 연결된 광범위한 컴퓨터 통신망
- ( 1 ) : 월드 와이드 웹(WWW)에서 HTML 문서를 송수신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 GET과 POST 메소드를 통해 메세지 주고 받음
- ( 2 ) : 다른 문서나 그림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연결을 가지고 있는 텍스트를 의미
- ( 3 ) : 이넡넷의 표준 문서인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
- ( 1 ) : HTTP
- ( 2 ) : Hypertext
- ( 3 ) : HTML